1. 중고차 취득세란 무엇인가?
중고차 취득세는 차량을 매매하거나 증여받는 등, 자동차 소유권을 취득할 때 지방자치단체에 납부하는 세금입니다. 대한민국에서는 자동차는 '취득세 과세대상'이기 때문에, 단순히 중고차 가격만 지불하는 것이 아니라 법적으로 정해진 취득세까지 함께 부담해야 합니다.
중고차의 경우 차량의 ‘과세표준가액’에 따라 일정 세율(보통 7%)이 부과되며, 이 세금은 보통 명의이전 등록 시점에 납부하게 됩니다. 만약 이를 미납할 경우 등록 절차 자체가 지연될 수 있으며, 연체 시에는 가산세까지 붙을 수 있습니다.
2. 중고차 취득세 계산 기준은?
중고차 취득세는 일반적으로 차량의 과세표준금액 × 취득세율(7%)로 계산됩니다. 여기서 중요한 점은 실제 거래 가격이 아닌 ‘과세표준가액’을 기준으로 세금이 부과된다는 것입니다.
예를 들어, 2020년식 현대 아반떼를 구매했다고 가정하면, 국세청 기준 중고차 기준가액이 1,200만 원이라고 할 때, 취득세는 약 84만 원(1,200만 원 × 7%)이 됩니다. 단, 연식, 모델, 배기량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.

3. 중고차 취득세 계산기 활용법
복잡한 계산을 수기로 할 필요는 없습니다. 자동차민원 대국민포털 등의 온라인 취득세 계산기를 이용하면 간편하게 예상 세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- 차량 제조사 및 모델명
- 최초 등록연도
- 차종 및 배기량
자동차민원 대국민포털(https://www.ecar.go.kr/)에서는 입력한 정보를 바탕으로 감가율과 기준가액을 자동 계산하여 취득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4. 차종별 취득세율 차이 및 감면 사례
차종에 따라 세율이 다르며, 일부는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
- 1톤 트럭: 5% 세율 적용
- 하이브리드 및 전기차: 일부 지자체 감면
- 장애인·국가유공자: 최대 100% 감면
이러한 감면 정책은 지자체마다 다르므로 구매 전 확인이 필요합니다.

5. 취득세 절세 팁 & 주의할 점
- 거래가보다 기준가가 높을 경우, 기준가 기준으로 세금 부과
- 60일 이내 명의이전과 취득세 납부 필수
- 최신 감가율 기준 사용 권장
- 계산기 활용 후 실제 고지서로 최종 확인
✅ 결론
중고차는 잘만 고르면 가성비 높은 선택이 될 수 있지만, 취득세를 포함한 부대 비용을 놓치면 예산을 초과할 수 있습니다.
정확한 세액 계산을 위해 온라인 계산기를 적극 활용하고, 차량 유형과 감면 혜택 여부, 등록 및 납부 기한을 꼼꼼히 확인하세요.
이 글이 중고차 구매자 여러분께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.